😊 소비쿠폰, 환영하시나요? 아니면 걱정되시나요?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두고 사람들의 반응은 참 두 분류로 나뉘는 듯합니다.
누군가는 “이건 결국 미래 세금을 당겨 쓰는 셈 아니냐”며 걱정의 목소리를 내고,
누군가는 저처럼 “그래도 이 기회에 얼어붙은 시장경제가 조금은 살아났으면 좋겠다”는
기대감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저는 소상공인입니다.
경기가 얼어붙은 요즘, 단 하루만이라도 시장에 사람들 발길이 늘어나고,
한 푼이라도 매출이 오르면 그것만으로도 큰 힘이 되니까요.
물론 이번 지원이 완벽한 해답은 아닐 수 있지만,
적어도 움직임 하나, 시도 하나가 필요했던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내가 정말 상위 10% 소득자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만큼 여유가 있다면 지금처럼 10만 원에 이리도 신경 쓰지 않았겠지…’
이 글은 그런 저의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 소득기준표, 소득구간별 예시, 신청 방법, 사용처, 국민비서 알림 신청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봤어요.
복잡한 기준을 한눈에 정리하고 싶은 분들,
이번 기회에 내가 어디쯤에 속하는지 알고 싶은 분들께 꼭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민비서
모바일 앱을 이용하시면 국민비서를 더욱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앱(전자문서 → 국민비서) 카카오톡(검색 → 국민비서 구삐) 토스(전체메뉴 → 국민비서)
www.ips.go.kr
📌 목차
📌 소비쿠폰이란?
정부는 경기 활성화를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2단계로 나누어 지급합니다.
✅ 1차 지급
일반 국민: 15만 원
한부모 가족: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비수도권: 3만 원 추가
인구감소 지역: 5만 원 추가
🗓 지급 기간: 7월 21일 ~ 9월 12일
📌 소득 기준은 어떻게 구분할까?
2차 지급은 소득 하위 90%에게만 10만 원 추가 지급됩니다.
기준은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판단합니다.
가구원 수
맞벌이/외벌이 여부
직장 vs 지역가입자 구분
이 포함됩니다.
📊 소득 구분표 (예상)
*아래는 2021년 재난지원금 기준과 건강보험공단 자료 기반 예상표입니다.
가구 형태 | 건보료 기준 | 연소득 기준선 | 상위 10% 여부 |
---|---|---|---|
1인 외벌이 | 27만3380원 ↑ | 약 7700만원 ↑ | 해당 |
2인 맞벌이 | 33만원 ↑ | 약 8600만원 ↑ | 해당 |
4인 외벌이 | 36만원 ↑ | 약 1억 532만원 ↑ | 해당 |
4인 맞벌이 | 42만원 ↑ | 약 1억 2436만원 ↑ | 해당 |
📌 지역가입자는 소득 + 재산 모두 반영되며 다르게 판단될 수 있습니다.
🎯 예시로 보는 소득기준
✅ 예시 1: 2인 외벌이 가구
연소득 약 6000만 원
월 건보료 22만 원
👉 하위 90%로 추가 10만원 지급 대상
❗ 예시 2: 맞벌이 부부 + 자녀 2명 (4인 가구)
연소득 약 1억 3000만 원
월 건보료 44만 원
👉 상위 10%로 추가 지급 제외 대상
📝 신청 방법 & 사용처
✅ 신청 방법
신청 시작일: 2025년 7월 21일
지자체, 온라인 홈페이지, 카드사 앱 등에서 신청 가능
✅ 사용처
전통시장, 골목상권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역경제 매장 (지자체별 안내 예정)
📌 사용 불가 업종 및 상황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SSM(노브랜드, 롯데슈퍼, GS더프레시 등)에서 사용 불가합니다. (korea.kr)
백화점, 면세점, 대형 외국계 매장: 백화점, 면세점, 샤넬·이케아·애플스토어 등 사용 불가합니다. (korea.kr)
대형 전자제품 전문매장: 하이마트, 전자랜드, 삼성디지털플라자 등 사용 불가합니다. (jibs.co.kr)
온라인 쇼핑몰 및 배달앱: 쿠팡,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앱 내 결제는 원칙적으로 사용 불가합니다. (korea.kr)
✅ 예외 적용 가능 업종
배달앱 통한 주문 중에서도:
배달원이 직접 가맹점의 단말기로 대면 결제하는 경우에는 사용 가능합니다. (korea.kr)
프랜차이즈 가맹점:
편의점·치킨집·빵집·카페 등 가맹점이 개인 운영하는 경우 사용 가능합니다.
단, 본사가 직영하는 매장(예: 스타벅스 직영점)은 사용 불가능 합니다 (korea.kr)
🗂 요약정리 테이블
구분 사용 가능 여부 비고
전통시장·동네마트 | ✅ 가능 | 연 매출 30억 이하 기준 |
프랜차이즈 가맹점 | ✅ 가능 | 개인이 운영하는 매장 |
프랜차이즈 직영점 | ❌ 불가 | 예: 스타벅스 직영 |
대형마트·SSM | ❌ 불가 | 이마트, 노브랜드 등 |
백화점·면세점 | ❌ 불가 | 샤넬·이케아 등 |
전자제품 매장 | ❌ 불가 |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
온라인 쇼핑몰 | ❌ 불가 | 쿠팡 등 |
배달앱 내 결제 | ❌ 불가 | 앱 결제는 불가 |
배달앱 대면결제 | ✅ 가능 | 배달원이 단말기 들고 올 때 |
📌 정리 및 팁
배달앱 주문 시: 반드시 대면 결제 방식(배달원이 카드 단말기 가져옴)으로 진행해야 쿠폰 사용이 가능합니다.
직영점과 가맹점 구분: 외식 브랜드라도 본사 직영 여부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정확한 사용처 안내: 소비쿠폰 사용 가능 가맹점은 정부 또는 지자체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스티커나 앱/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hani.co.kr, sisajournal.com, v.daum.net, jibs.co.kr, donga.com, korea.kr).
🔔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신청
신청일: 7월 14일~
안내 수신일: 7월 19일
📱 신청 가능한 채널
소득 기준, 복잡해 보여도 하나씩 짚어보면 명확해집니다 😊
이 글이 여러분의 판단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