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놓치면 후회하는 청년 정부지원금 10가지 총정리!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혜택!
정부가 제공하는 청년지원 제도, 생각보다 많고 혜택도 큽니다.
하나씩 챙겨보면 내 통장이 든든해져요! 💸
📊 2025년 기준 가구별 중위소득 도표 (월 기준, 단위: 원)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 | 50% | 120% | 150% | 180% | 250% |
---|---|---|---|---|---|---|
1인 | 2,214,000 | 1,107,000 | 2,656,800 | 3,321,000 | 3,985,200 | 5,535,000 |
2인 | 3,678,000 | 1,839,000 | 4,413,600 | 5,517,000 | 6,621,600 | 9,195,000 |
3인 | 4,743,000 | 2,371,500 | 5,691,600 | 7,114,500 | 8,535,600 | 11,857,500 |
4인 | 5,776,000 | 2,888,000 | 6,931,200 | 8,664,000 | 10,396,800 | 14,440,000 |
5인 | 6,736,000 | 3,368,000 | 8,083,200 | 10,104,000 | 12,364,800 | 16,840,000 |
6인 | 7,623,000 | 3,811,500 | 9,147,600 | 11,434,500 | 13,720,800 | 19,057,500 |
7인 | 8,484,000 | 4,242,000 | 10,180,800 | 12,726,000 | 15,271,200 | 21,210,000 |
✅ 중위소득이란?
통계청이 발표하는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정부 복지 정책에서 소득 기준으로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 예시로 알아보기
4인 가구가 정부지원 상품에 신청하려면:
중위소득 100% 이하: 월 5,776,000원 이하여야 가능
중위소득 150% 이하: 월 8,664,000원 이하여야 가능
2인 가구가 중위소득 250% 이하 조건에 해당하려면?
→ 월 소득이 9,195,000원 이하여야 신청 가능!
✅ 1. 청년도약계좌
대상: 만 19~34세(병역기간 제외) 이하,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Brunch Story, ylaccount.kinfa.or.kr)
내용: 5년 만기,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 납입. 정부는 소득 구간별로 월 최대 3.3만 원까지 매칭 지원 (금융위원회). 비과세 혜택도 포함됨.
혜택: 은행 이자 + 정부 기여금 + 비.과.세 효과로 연 최대 9.5% 수준 기대 (금융위원회).
신청 팁: 은행 영업점 또는 모바일로 개설 가능. 2025년부터는 중도 해지 및 신용점수 가점 등 혜택 확대 (금융위원회).
✅ 2. 월세 세액공제
대상: 가구주 및 무주택 청년 근로자, 소득 기준 적용
내용: 월세의 10~15% 세액공제. 연간 최대 750만 원 공.제
혜택: 연말정산 시 세금 부담 줄여줘요. 월세 사는 청년이라면 필수 체크!
✅ 3.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 중소기업(5
50인) 정규직 취업 청년, 만 15
34세, 월급 300만 원 이하, 고.용보.험 가입 12개월 이하 (네이버 페이, SBC Plan)
내용: 본인 300만 + 기업 300만 + 정부 600만 = 총 1,200만 원 적립, 2년 후 만기 지급 (Brunch Story).
신청 절차: 취업 6개월 이내 워크넷 및 중진공 온라인 신청 (SBC Plan). 자동이체 필수.
혜택: 목돈 마련 + 장기근속 유인. 중.도 해지 시 미지급 부분 예외 있음 (뱅크샐러드).
✅ 4.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무주택 청년 및 신혼부부, 연소득 약 1억 원 이하
내용: 고정금.리로 아파트·주택 구입 자금
혜택: 시세 6억 이하 주택에 대해 시중보다 낮은 고.정.금.리 제공
✅ 5. 청년 버팀목
대상: 만 19
34세 무주택 청년, 보증금 5천만
1억 원, 연소득 약 5천만 이하
내용: 지자체 보증 기반 저금리 전세지원 (연 1.5%대)
혜택: 시세 맞춰 안정적인 전세자금 마련 가능
✅ 6. 전기요금 할인제도
대상: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청년 등
내용: 매월 2,000~4,000원 전기요금 할인
혜택: 연간 최대 약 48,000원 절약
✅ 7. 청년희망적금
대상: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청년
내용: 2년 만기, 정부 장려금 지원 + 비과세
혜택: 최대 36만 원 정부지원 + 이자 혜택
주의: 청년도약계좌와 병행 불가 (네이버 페이, 뱅크샐러드,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 8. 직업훈련 지원금 (국민내일배움카드)
대상: 국민내일배움카드 보유 청년 누구나
내용: 직업훈련 비용 지원 + 출석 수당
혜택: 훈련비 최대 500만 원 + 출석일 수당
✅ 9. 이사비 지원제도
대상: LH·지자체 공공임대 입주 청년
내용: 실비 기준 이사비(30~50만 원) 지원
혜택: 이사 부담 줄이고 안정적 정착 가능
✅ 10. ISA 통장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대상: 근로소득 있는 19세 이상, 금융소득 2천만 원 이하
내용: 다양한 금융상품 통합, 비과세요건 충족 시 400만 원까지 비과세 이자
혜택: 절세 효과 + 자산관리 효율성 제공
💡 제도별 중복 수혜 팁
제도 | 중복 가능 여부 | 주의 사항 |
---|---|---|
청년도약계좌 | ✅ 가능 | 단, 청년희망적금과 동시 가입 불가 (고용노동부 1350, KB하나은행, 뱅크샐러드) |
청년희망적금 | ❌ 불가 | 둘 중 하나만 택해야 함 |
청년내일채움.공.제 | ✅ 가능 | 저축형 상품들과 무관 |
전세자금대.출 / 보금자.리.론 | ❌ 중복 불가 | 주택 자금대.출은 한 가지 선택 |
월세공제, 직업훈련, 전기요금 할인, 이사비, I.S.A | ✅ 대부분 중복 가능 | 저축 외 다양한 혜택 병행 가능 |
📝 제도별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은행 방문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입 신청
주민등록초본, 소득 증명 자료 제출
매월 자동 이체 설정
납입 시작 및 정부 매칭금 수령
청년\내일\채움\공\제
취업 6개월 이내 워크넷+중진공 청약 진행 (SBC Plan, 금융위원회)
기업과 동일 기간 자동 이체 설정
정해진 주기(1·6·12·18·24개월) 지원금 신청 (SBC Plan)
2년 근속 후 만기 공.제.금 수령
청년희망적금
은행 방문 또는 모바일 신청
만 19~34세, 연소득 ≤3,600만 원 검증
자동 이체 납입 시작
전.세.대.출, 보.금.자.리.론, I.S.A, 전기요금 할인, 이사비
각 제도별 홈페이지 또는 금융기관에서 신청
필요서류(소득증명, 주민등록, 계약서 등) 지참 필요
⚠️ 주의사항 및 Q&A
Q.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둘 중 어떤 게 더 유리할까?
희망적금은 단 2년 만기로 빠른 목돈 마련에 유리
도약계좌는 5년 장기 저축 + 높은 정부 매칭금 + 비과세
어느 만큼의 기간을 투자할지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Q. 중도해지하면 불이익 있나요?
청년도약계좌: 3년 유지 시 비과세 적용. 3년 미만 중도 해지 시 이율 일부 제한 (금융위원회, SBC Plan, 금융위원회)
청년내일채움: 6회 미납 또는 기업 귀책 사유 시 중도 해지 대상 (SBC Plan)
📌 마무리 한마디
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주거 안정, 교육 기회를 위해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
소득과 상황에 맞는 제도만 선택하고, 불필요한 중복은 피해가는 전략이 필요해요.
신청 전엔 반드시 정부24나 복지로, 운영기관 상담을 통해 요건 확인 후 진행하세요!
👇 궁금할 땐 언제든 DM or 댓글 주세요!
🔔 공유와 저장은 사랑입니다 ❤️
📱 지원금24 카카오톡 친구 추가
카카오톡채널
pf.kakao.com